생활의달인 1003회에 소개된 정보입니다.
<나폴리 화덕 피자 달인>
경기도 양평에 국내 유일한 피자 마스터 셰프가 있습니다. 지난 6월, 나폴리 피자학교에서 마스터 클래스 과정을 통과해 피자 마스터 셰프 자격을 받았습니다. 피자 반죽부터 남다른 이 달인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밀가루 반죽이 아닌 액상 반죽과 부슬부슬한 반죽을 각각 발효시킨 뒤 합쳐 만드는 간접 반죽 방식을 사용합니다. 덕분에 피자는 훨씬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먹고 나서도 속이 편안합니다. 그래서 어른 아이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인기가 끊이질 않습니다. 현대식 이태리 피자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ㅍ’ 집을 만나봅니다.
▶ 핏제리아루카네
경기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431-2
☎ 031-772-3589

<반지 수리·디자인 달인>
뚱땅뚱땅! 반지를 두드리고 깎아내는 소리가 들려오는 이곳은 무려 37년 경력의 반지 수리 전문가, 이재철 달인의 작업실입니다. 다른 모든 수리점에서 포기한 반지를 살려낸다고 합니다. 전국 각지의 주얼리들이 그를 찾아오며, 절단과 접합, 레이저 땜 작업을 통해 다시 살려냅니다. 찍히고 패인 부분은 같은 재질로 메워 채우고, 사포질과 광택으로 원래 디자인을 되살립니다. 심지어 디자인을 해치지 않고 사이즈를 크게 늘리는 고난도 작업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추억이 깃든 기념 반지를 새것처럼 돌려주는 이재철 달인을 만나봅니다.
▶ 하토르주얼리
부산 부산진구 범천동 846-3
☎ 0507-1402-5809

<집 반찬의 달인>
우리나라에도 이탈리아 현지 출신 미슐랭 셰프가 직접 만드는 수제 뇨끼를 맛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직접 찌고 으깨 손으로 반죽하는 그의 뇨끼는 완성되기까지 무려 3일이 걸립니다. 이탈리아 현지에서 배운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드는 그의 감자 뇨끼는 특유의 몽글몽글한 식감이 아주 부드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또 4가지 최고급 치즈가 들어간 크림 뇨끼, 최고급 트러플 오일로 마무리한 뇨끼, 이틀에 걸쳐 완성하는 바질 크림 뇨끼까지, 이 모든 소스도 직접 만듭니다. 이탈리아 현지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뇨끼의 명소, ‘ㄴ’집을 만나러 갑니다.
▶ 연이네 반찬
서울 강동구 성내동 435-30
☎ 010-7205-3753

<밀죽(풀탕종) 소금빵·식빵 달인>
밀가루와 쌀가루, 전통 방식으로 숙성한 반죽에 적절한 염기를 담아 겉은 살짝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밀죽 소금빵&밀죽 식빵’을 만드는 곳이 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숙성 과정을 거친 반죽은 겉은 바스락하면서도 안쪽은 촉촉하고 무게감 있게 자리 잡습니다. 소금빵엔 적당한 염도를 더해 고소함이 더 살아나고, 식빵은 부드러운 단면과 입에 닿는 결이 균일하게 퍼져 ‘담백함’이 입 안에 오래 머뭅니다. 매일 아침 갓 구워 나오는 빵의 향이 작은 골목길까지 스며들게 만드는 ‘ㅂ’집을 만나봅니다.
▶ 베이커리 어썸 피넛
서울 성북구 동선동2가 125
☎ 02-929-9446

<카드 셔플 달인>
테이블 위, 카드를 집어 들면 손이 절로 움직이는 달인이 있습니다.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카드에 매력을 느끼고 그 뒤로는 카드만 잡으면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간다고 합니다. 카드 한 장, 두 장이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한 묘기를 선보입니다. 동년배 카디스트리머 중에서는 한국 최고 수준이라고 합니다. 쉼 없는 연습은 기본이며, 지금도 습관처럼 손에서 카드가 쉼 없이 돕니다. 카드 다루기의 달인, 나부성 씨를 만나봅니다.
'방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시내고향 8392회 경북 영주 무섬마을, 테마파크, 부석사, 한우 위치 및 구매 정보 (0) | 2025.10.20 |
|---|---|
| 6시내고향 8392회 경북 영주 풍기인삼, 인삼, 사과, 한우, 쌀 위치 및 구매정보 (0) | 2025.10.20 |
| 생생정보 2397회 나나랜드 나를 품어 준 부모님의 고향 땅 (생활의달인 노재석 수제 감자칩 고구마칩) (0) | 2025.10.20 |
| 생생정보 2397회 골든타임 히어로 로맨스 스캠 피해를 막은 영웅들 (서초 정신건강의학과의원, 법률사무소) (0) | 2025.10.20 |
| 생생정보 2397회 한국인의 식판 믿고 먹을 수 있는 '착한' 구내식당의 정체는? (국립농업박물관 식당) (0) | 202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