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근로계약서란?
근로계약서는 고용주와 근로자 간에 체결되는 계약으로, 근로자의 근로 조건을 명시한 문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 근로 시간, 급여, 휴가, 근로 장소, 업무 내용 등 다양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근로계약서는 법적 효력을 가지며, 양 당사자가 계약 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한 후 서명함으로써 유효하게 됩니다.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고용주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계약서를 작성할 때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근로계약서 필수항목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꼭 포함해야 하는 필수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근로 계약 당사자 정보
- 사업주(회사) 및 근로자의 성명, 주소
- 사업주의 사업장 명칭 및 주소
✅ 2. 근로 조건
- 근로 계약 기간: 기간제 근로자인 경우 계약 기간 명시
- 근무 장소: 근무할 장소(본사, 지점, 재택 등)
- 업무 내용: 근로자가 수행할 주요 업무
✅ 3. 임금 관련 사항
- 임금(월급, 시급, 연봉 등) 및 지급 방법 (계좌 이체, 현금 등)
- 기본급 및 각종 수당(상여금, 연장·야간·휴일 근무 수당 등)
- 임금 지급일 (예: 매월 25일)
✅ 4. 근로 시간 및 휴게 시간
- 1일 및 1주 근로시간 (법정 근로시간 준수 여부 확인)
- 휴게시간 (예: 1일 8시간 근무 시 1시간 휴게)
✅ 5. 휴일 및 휴가
- 법정 공휴일 및 주휴일
- 연차 유급휴가, 병가, 출산휴가 등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출근한 경우 주 1회 이상의 휴일을 부여하여야 하는데, 이때 유급으로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입니다. 주5일, 주40시간 미만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면 시간에 비례하여 지급하여야 합니다.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110조(벌칙)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6. 퇴직 및 계약 종료
- 퇴직금 지급 조건
- 계약 해지 사유 및 절차
✅ 7. 기타 근로자 보호 조항
- 4대 보험 가입 여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취업규칙 및 회사 내부 규정 준수 사항
💡 주의사항: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하고,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5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되며, 만약 기간제 · 단시간근로자인 경우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근로계약서 양식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표준근로계약서 서식입니다. 다운로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moel.go.kr/mainpop2.do
고용노동부
__________(이하 “사업주”라 함)과(와) __________ (이하 “근로자”라 함)은 다음과 같이 근로계약을 체결한다. 10.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www.moel.go.kr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권고사직 해당사항 (0) | 2025.02.04 |
|---|---|
| 2025년 서울 손주돌봄수당 신청방법 (0) | 2025.02.03 |
| 2025년 울산시 손주돌봄수당 신청방법 (1) | 2025.02.01 |
| 딥시크 AI란? (0) | 2025.01.31 |
| 올리브영 재고조회 (0) | 2025.01.29 |